개인 사업이 늘어나면서 개인 홈페이지 또한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이럴때 개발자가 아닌 우리는 어떤 플랫폼으로 홈페이지를 제작 할까요? 여기 두개의 플랫폼을 소개합니다. 바로 설치형 블로그 워드프레스와 쉬운 제작의 윅스 입니다.
윅스(Wix)는 드래그&드롭의 쉬운 방법으로 수준 높은 전문사이트를 만들수 있는 서비스다. 실제로 학생들도 윅스의 홈페이지 제작을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쉽다. 하지만 전세계의 점유율을 살펴보면 다른결과를 볼 수 있다.
워드프레스는 전세계 모든 웹사이트 30%에서 사용되며, 콘텐츠 관리 시스템(CMS)에서 60%의 점유율 자랑합니다. 그에 비해 Wix는 전세계 0.7%가 사용하며,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서 1.3%의 점유율로 워드프레스랑 40~50배의 차이가 납니다.
여기서 "콘텐츠 관리 시스템"(CMS)라 함은 Content Management System 의 약자로 게시글 즉 저작물을 등록, 수정, 삭제할 수 있는 시스템 입니다.
이 큰 차이를 많은 사람들은 "검색 엔진 최적화"(SEO = Search Engine Optimization) 라고 지적합니다. 윅스는 워드프레스에 비해 SEO에서 떨어지는 모습을 보입니다.
바로 구글, 네이버, 다음 같은 검색엔진에서 윅스로 만든 홈페이지를 찾기 어려워합니다. 똑같은 내용을 저장해놔도 워드프레스가 검색엔진에서 먼저 검색된다는 점이죠.
윅스는 보여주기 위한 사이트로는 비교적 저렴하게 홍보용 사이트로 만들 수 있습니다. 반면 워드프레스는 윅스보다 사용법이 조금 어려울 수 잇지만, 보다 자유도가 높고, SEO에 최적화 되어 구글 검색에 상위 노출이 잘 됩니다.
워드프레스의 점유율이 높아질 수록 무료 및 유료 테마와 플러그인이 자발적으로 생성되어 더 많은 생태계를 만들어냅니다. 심지어 CSS와 자바스크립트를 조금만 알게되면 전체적인 수정이 가능할 정도로 좋은 플랫폼입니다.
그래서 아직은 검색방문자가 많아야 할 경우 워드프레스를 쓰게됩니다.
[ 이 블로그의 다른 이야기 ]
2018/05/13 - [운영자 수입/(4) 가상화폐] - [포브스]'가상화폐' 세계 부자 순위에 '한국인'
2018/05/03 - [MONEY/직장인] - 글 쓰기를 꿈꾸는 나, 글 쓰기 못하는 나
2018/04/19 - [운영자 수입/(5) 유튜브] - 유튜브를 시작하기 위해 퇴사학교 강의